Search

자료실

    고용노동부 2023년 산업재해 통계 발표
    • 작성일2024/03/13 22:56
    • 조회 142
    안녕하세요.
     
    무사퇴근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2023년 산업재해 통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잠정 결과로 일부 변경 있을 수 있음).
     
    1. 업종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수
     
     
    상기 표를 보면 알 수 있듯 발생건수는 건설업(50.9%), 제조업(28.3%)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망자 역시 건설업(50.7%), 제조업(28.4%)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타의 사업은 통상 서비스업으로 지칭되는 도·소매업,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음식·숙박업 등을 포함한 것으로 다양한 사업장이 모두 합쳐져 있기 때문에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근로자 수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수
     
     
    제조업 및 기타의 사업을 기준으로 사업장 근로자 수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수를 살펴보면,
    먼저 제조업의 경우,  발생건수는 5~49인(47.9%), 100~299인(15.8%), 1,000인 이상(10.3%), 50~99인(9.7%), 300~999인(8.5%), 5인 미만(7.9%) 순으로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사망자는 5~49인(48.2%), 100~299인(15.3%), 1,000인 이상(10.6%), 50~99인(9.4%), 5인 미만(8.2%), 300~999인(8.2%) 순으로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기타의 사업의 경우, 발생건수는 5~49인(32.0%), 5인 미만(29.5%), 1,000인 이상(22.1%), 300~999인(9.8%), 100~299인(4.1%), 50~99인(2.5%) 순으로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사망자는 5~49인(32.0%), 5인 미만(29.6%), 1,000인 이상(21.6%), 300~999인(10.4%), 100~299인(4.0%), 50~99인(2.4%) 순으로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제조업의 경우, 5인 미만 사업장이 매우 소수이며, 대부분 소규모 제조업은 5인~49인 규모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규모 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타의 사업(서비스업)의 경우, 5인 미만 사업장도 상당수 존재하기 때문에 소규모 1인~49인의 사업장에서 가장 많은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근로자 수가 적을수록 사망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재해유형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수
     
     
    재해유형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수를 살펴보면,
    발생건수는 떨어짐(42.6%), 부딪힘(13.5%), 물체에맞음(11.5%), 끼임(9.2%), 깔림·뒤집힘(7.4%) 순으로 떨어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사망자 수 역시 떨어짐(42.0%), 부딪힘(13.2%), 물체에맞음(11.2%), 끼임(9.0%), 깔림·뒤집힘(7.2%) 순으로 떨어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건설업이 대부분의 사망사고를 차지하고 있으며, 건설업에서 가장 많은 사망사고가 떨어짐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며, 건설업을 제외한 업종은 다양한 재해유형별로 사망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 제조업 : 끼임(22.4%), 떨어짐(18.8%), 부딪힘(17.0%), 화재·폭발·파열(11.5%), 깔림·뒤집힘(10.9%) 순으로 끼임에서 가장 많이 발생
    * 기타 업종(건설/제조 제외 전체) : 떨어짐(31.1%), 부딪힘(16.4%), 물체에맞음(14.8%), 깔림·뒤집힘(9.0%), 끼임(8.2%) 순으로 떨어짐에서 가장 많이 발생
     
    4. 연령별 사망자 수
     
     
    연령별 사망자 수를 살펴보면,
    60세 이상(39.0%), 55~59세(18.1%), 50~54세(16.4%), 45~49세(8.7%), 40~44세(5.7%), 35~39세(5.0%), 30~34세(3.5%), 25~29세(2.3%), 18~24세(1.3%) 순으로 고령자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직종별 사망자 수
     
     
     
    직종별 사망자 수를 살펴보면,
    단순노무 종사자(39.5%),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33.9%),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17.1%),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3.0%) 순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건설업 종사자 및 제조업에서 기계/기구를 조작하는 근로자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6. 사업장 제언
    위와 같은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어떠한 상황에서 중대산업재해(사망)가 발생할 확률이 높을지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사망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유해·위험요인 / 인적 특성 등을 미리 인지하고 있는 경우, 해당 상황에 대해 안전·보건 관리를 보다 신경써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행동은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현재 통계자료를 종합하여 본다면, 공사 등 상황에서 추락사고가 가장 위험할 것이며, 고령자 작업일수록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외주 공사 또는 이와 유사한 외주 작업을 진행할 때 고소 작업 등은 더욱 신경써서 관리를 하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수급업체의 근로자가 고령자일 수록 도급인으로서 안전관리의 비중을 높이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무사퇴근을 사용하는 경우, 외주업체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한 번 활용해 보시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문의하기

    사업장명
    사업장연락처
    문의자명
    응답수신처
    이메일 @
    연락처
    제목
    문의내용
    자동입력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