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프로세스 (체크리스트, 유해요인 기본조사, 증상 조사)
- 작성일2025/04/12 19:02
- 조회 110
안녕하세요. 무사퇴근연구소입니다! 무사퇴근이라는 목표를 위해 오늘도 핵심적인 정보를 전하겠습니다!
오늘은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는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해 실시하여야 하는 조사로 근골격계부담작업이 있는 작업장의 유해요인을 찾고, 질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활동입니다.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는 크게 4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시면 됩니다.
1. 근골격계부담작업 해당 여부 판단
공단에서 배포한 근골격계부담작업 체크리스트 많이 보셨을텐데요.
해당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사업장의 어떤 작업이 근골격계부담작업에 해당하는지, 관련 부서는 어디인지 파악합니다. (체크리스트 외 다른 양식으로 활용하셔도 됩니다.)
-
공정명은 해당 작업의 포괄적인 공정명을 기재하세요 (예: 도장공정, 포장공정 등)
-
작업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세요 (예: 자동차휠 공급작업, 의자포장작업 등)
* 동일한 작업이라도 작업시간, 작업량에 따라 근골격계부담작업 해당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면밀히 체크해야 합니다.
※ 활용 자료 : 근골격계부담작업 체크리스트
2. 유해요인 기본조사표 작성
사업장에 근골격계부담작업이 파악됐다면, 유해요인 기본조사표 작성을 통해 각 근골격계부담작업의 위험성을 상세히 조사해야 합니다.
유해요인 기본조사표를 통해 작업장 상황 조사 및 작업조건 조사를 하게 되는데요.
1) 작업장 상황 조사는 근로자와의 면담 및 작업관찰을 통해 작업설비, 작업량, 작업속도 등을 기재합니다.
2) 작업조건 조사는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요.
-
1단계에서는 작업명을 적고, 작업내용을 단위작업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기재합니다. (포장상자에 의자넣기, 포장된 상자를 운반 수레로 당기기 등)
-
2단계는 근로자와의 면담을 통해 근로자가 자각하고 있는 작업 부하를 5단계로 구분하여 점수를 기재하고, 작업 빈도도 5단계로 구분하여 점수를 적습니다. 작업 부하와 작업 빈도를 곱한 값은 개선대책 우선순위 결정에 활용됩니다.
-
3단계에서는 단위작업별로 유해요인과 발생원인을 조사합니다. 보통 조사표에 작업사진 혹은 재연사진을 첨부하여 작성 시 참고합니다.
※ 활용 자료 : 유해요인 기본조사표 양식
3. 근골격계 증상조사표 작성
다음은 근골격계부담작업에 종사하는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증상이 있는지 증상조사표를 배포하고, 취합해야 합니다.
근골격계 증상조사표를 통해 관리대상자, 통증호소자를 확인하고, 해당 인원을 대상으로 사후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활용 자료 : 근골격계 증상조사표 양식
4. 작업환경 개선 계획 수립 및 이행
유해요인 기본조사 결과, 근골격계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보조설비 및 편의 설비를 설치하는 등 작업환경 개선에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
작업환경 개선 계획을 수립할 때는 근로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작성합니다.
5. 서류 보관 의무
-
유해요인기본조사표, 근골격계질환증상조사표 등 관련 문서: 5년
-
시설·설비와 관련된 개선계획 및 결과보고서: 시설·설비 존재 하는 동안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는 굉장히 많은 서류 작성이 필요하고, 근로자 참여까지 이끌어내야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무사퇴근은 이러한 어려움 해소를 위해 유해요인 조사 및 증상 조사까지 가능한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기능"을 4월 3주에 출시할 예정입니다.
무사퇴근의 강력한 보건관리 기능들을 실제로 체험해보세요! 감사합니다. 무사퇴근 무료체험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