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건
번호 | 제목 | 회시번호 | 등록일 | 조회 |
---|---|---|---|---|
43 | 근로자가 요양 중 사망한 경우, 사업주는 근로자가 사망한 사실을 알게 된 날을 기준으로 지체없이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 | 산재예방정책과-2096 | 작성일2022.11.26 | 조회74 |
42 | 산림조합을 보건관리자 선임의무가 있는 ‘임업관련 서비스업’으로 보아야 할지, 선임의무 없는 산업단체로 보아야할지 여부 | 산재예방정책과-2013 | 작성일2022.11.26 | 조회75 |
41 | 원하청 산업재해 통합관리제도 | 산재예방정책과-1918 | 작성일2022.11.26 | 조회65 |
40 | 대규모유통업법에 따라 납품업자 소속 근로자가 마트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상 의무주체로서 사업주 | 산재예방정책과-1696 | 작성일2022.11.26 | 조회66 |
39 | 주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행하며 부수적으로 부동산업 및 임대업을 행하는 경우, 사업의 종류를 어느 사업을 기준으… | 산재예방정책과-1583 | 작성일2022.11.26 | 조회64 |
38 |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 공표 대상 기준 | 산재예방정책과-1536 | 작성일2022.11.25 | 조회66 |
37 | 중대재해 발생 미보고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의 적용 시점이 사고 발생일 기준인지, 사망일 기준인지 여부 | 산재예방정책과-1499 | 작성일2022.11.25 | 조회71 |
36 | 근로자가 한 달이 지난 뒤에 사업주에게 사고보고를 하고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신청을 한 경우, 사업주는 지연보고로 인해 과태… | 산재예방정책과-1173 | 작성일2022.11.25 | 조회75 |
35 | 지방자치단체 사업장 판단 | 산업안전보건정책과-756 | 작성일2022.11.25 | 조회71 |
34 | 교육서비스업에서 현업업무종사자 | 산업안전보건정책과-754 | 작성일2022.11.25 | 조회77 |